반응형
자연발화 예방 대책
1. 자연발화 예방 대책
- 가연성 물질의 제거
- 통풍이나 환기 및 저장방법 등을 고려하여 열의 축척을 방지한다
- 반응물질이 놓인 분위기 온도를 낮게 한다
- 습도, 수분 등은 물질에 따라 촉매 효과 작용을 하므로, 습도가 높은 곳에는 저장 하지 않아야 한다
- 활성이 강한 황린이나 금속리륨 등은 위험하기 때문에 산화 및 발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충분한 관리가 필요하다
2. 금속의 자연발화 예방대책
구분 | 금속분말의 자연발화 | 알칼리금속의 자연발화 |
특징 |
-철, 망간, 아연 등 활성이작은 금속 -산화 속도가 느리고 열 전달률이 크기 때문에 열축적이 용이하지 않아 자연발화의 우려가작다 -미분 혹은 다공질 상태에서는산소와의 접촉면이 증가하여 공기 중에서 용이하게 산화, 발열하고 발화에 이르기 쉽다 -습기와 탄산가스, 산의 존재하에서는 발열과 더불어 수소를 발생하여 인화, 폭발의 위험성이 커진다 |
-칼륨, 나트륨 등 활성이 큰 금속 -공기 중에 노출 상태에서는 습기에 의해 급속 산화되어 자연발화 우려가 크다 -물과 접촉하면 격렬한 반응으로 발열하고 수소 가스가 발생하여 즉시 발화, 폭발 한다 -탄산가스 중에서도 그 속의 산소를 탈취하여 연소를 계속한다 |
저장예방대책 |
-습기, 공기, 물 등이 침투하지 않도록 기밀 용기에 보관 -물, 점화원, 가연성 가스 및 액체 저장 , 화학물질 근접 저장 금지 -저장소는 적정하게 환기되고 내화성 건물이어야 함 -분말은 항상 건조한 상태가 되도록 유지 |
-보호액 속에 담은 뒤 밀봉하고 보호액의 증발을 방지 -낙하, 전도 위험이 있는 불완전한 장소와 습기가 많은 장소에 보관 금지금지 -다른 위험물, 수용액, 함수 및 흡수성 물질 결정수를 갖는 물질과 혼재하지 않아야 함 |
취급예방대책 |
-충격을 방지하여 물리적 손상이 발생하지 않아야 함 -취급 도구는 스파크를 발생하지 않아야 함 |
- |
반응형
'방재영역 > 연소공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9. 자동발화온도 (AIT- Auto Ignition Temperature) (0) | 2020.06.11 |
---|---|
8. 혼촉발화 (0) | 2020.06.11 |
6. 자연발화 (0) | 2020.06.11 |
5. 불꽃연소와 작열연소 (0) | 2020.06.10 |
4. 발화점·인화점·연소점·자연발화·연소범위 (0) | 2020.06.10 |
댓글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