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혼촉발화
1. 개요
혼촉발화란 2가지 이상의 물질이 혼합 또는 혼촉 하여 발화하는 것으로 위험한 상태가 되는 것을 말한다
2. 혼촉발화 현상
- 혼촉에 의해 반응이 생겨 발열, 발화, 폭발에 이른다
- 일정 시간 경과 후 급격한 반응에 의해 발열, 발화, 폭발에 이른다
- 폭발성 물질을 생성한다
- 혼촉에 의해 발열, 발화하지만 본 물질보다 발화하기 쉬운 혼합물을 형성한다
3. 혼합, 혼촉 위험물질
- 산화성 물질과 환원성 물질의 혼합, 혼촉
- 강한 산화성(제1류,제6류 위험물)을 가진 물질과 환원성(제2류 위험물)을 가진 물질의 경우가 많다
- 산화성 염류와 강산의 혼촉
- 불안정한 물질을 만드는 물질의 혼합, 혼촉 불안정한 물질을 만드는 물질이 서로 접촉하여 화합 반응을 일으켜 조건에 따라 서는 극히 불안정한 물질을 생성하는 경우가 있다
암모니아+염소산칼륨→질산암모늄
4. 혼합, 혼촉발화 방지
- 산화제와 환원제, 가연물 등은 동일 실내에 저장하지 않아야 한다
- 강산과 강염기류는 동일 실내에서 저장․ 취급하지 않아야 한다
- 제5류 위험물은 분해 촉매물질과 동일 장소에 저장․ 취급하지 않아야 한다
- 인화성 액체 또는 가연성 가스가 존재하는 장소에는 화기사용을 금지한다
- 혼합, 혼촉발화의 가능성이 있는 물품들에 대해서는 동일 장소에 저장하지 않아야 한다
5. 혼합, 혼촉 방지 대상물질
혼합, 혼촉발화는 그 이상의 물질 등이 외부의 점화원이 없이도 혼합, 혼촉 시 발생한 반응열에 의해 발화가 일어나므로 평소 혼촉발화의 가능성의 위험이 있는 물질의 저장 및 취급 과정에서부터 안전 확보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.
- 제1류 위험물과 제2,3,4,5류 위험물과의 혼합
- 제6류 위험물과 제2,3,4,5류 위험물과의 혼합
- 제1+6류 위험물과 제2,3,4,5류 위험물과의 혼합
반응형
'방재영역 > 연소공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0. 고분자 물질과 PVC의 분해 및 연소 생성물 (0) | 2020.06.11 |
---|---|
9. 자동발화온도 (AIT- Auto Ignition Temperature) (0) | 2020.06.11 |
7. 자연발화 예방 대책 (0) | 2020.06.11 |
6. 자연발화 (0) | 2020.06.11 |
5. 불꽃연소와 작열연소 (0) | 2020.06.10 |
댓글0